
Lynx Hilo 2
레퍼런스 A-D / D-A 컨버터

Lynx의 최신 마스터링 컨버터의 업데이트 버전은 훨씬 향상된 터치스크린, 다양한 새로운 필터링 옵션,
그리고 우리가 측정한 것 중 가장 뛰어난 D-A 컨버터 성능을 제공합니다.
2012년 7월 출시된 Lynx의 Hilo 컨버터는 10년 이상 지속된 새로운 성능 기준을 확립했습니다.
이제 Lynx는 새롭고 대대적으로 업데이트된 버전인 Hilo 2로 다시 한 번 그 기준을 끌어올렸습니다.
처음 보면, 기존 실버 색상을 대신하는 세련된 다크 그레이 컬러와 이름에 추가된 “2”표시부분을 제외하면,
새로운 모델은 외관상으로는 기존 제품과 구별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많은 부분이 변경되어, 더 높은 기술적 성능을 끌어내고 향상된 사용성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개요
기존 Hilo 사용자는 작동 방식과 연결성이 대부분 동일하기 때문에 즉시 익숙함을 느낄 것입니다. 이 제품은 여전히 2입력 6출력의 마스터링 급 A-D/D-A 컨버터이며, 내부 16x16 디지털 라우팅 매트릭스를 갖추고 있습니다. 전면 패널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직접 컨트롤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Mac/Windows용 컴퓨터 앱을 통해 원격 컨트롤도 가능합니다.

전면 패널은 여전히 매우 미니멀하며, 스탠바이(on/off) 버튼, 버튼을 할당 가능한 회전형 볼륨 컨트롤, 1/4인치 헤드폰 단자만 존재합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장비의 모든 설정과 작동은 대형 컬러 터치스크린을 통해 컨트롤되지만, 이 480x272픽셀의 디스플레이는 주요 업그레이드 요소입니다. 이제 IPS(in-plane switching) 타입으로, 정전식 터치 센서를 채택했으며, 터치 반응성, 밝기, 시야각이 모두 향상되도록 완전히 재설계되었습니다.
기존 Hilo 리뷰(https://sosm.ag/lynx-hilo)에서 “제 손가락이 비교적 두꺼운 편이라 라우팅 페이지의 작은 버튼을 살짝 빗나가 누르면 반응이 없거나 잘못된 소스를 활성화하는 경우가 있었다”라고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Hilo 2에서는 이런 문제가 전혀 없었습니다. 터치는 빠르고 정확하며, 손가락 위치를 따로 신경 쓸 필요 없이 원하는 대로 반응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새로운 스크린 업그레이드는 매우 가치 있는 개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터치스크린은 기존 Hilo에 사용된 것보다 상당히 향상되었습니다.
제가 확인한 바로는, Hilo 2의 현재 펌웨어(v1.3, 2024년 8월 출시)는 이전 모델의 최신 버전(v8.13)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기본 기능과 그래픽은 거의 동일해 보입니다. 하지만 초기 사용 중에 발견한 한 가지 유용한 차이점은, 새로운 컨버터 하드웨어가 다양한 리니어 페이즈 및 미니멈 페이즈 필터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훌륭하게 작성된 70페이지 분량의 매뉴얼에서는 이 다양한 모드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으며, 간단히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미니멈 페이즈 필터는 이상적인 아날로그 필터를 모방하며, 주파수에 따른 위상 변화 때문에 ‘시각 왜곡(time smearing)’이나 파형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리니어 페이즈 필터는 다양한 주파수 간의 위상 관계를 유지하여 파형을 보존하지만, 일펄스 응답에 프리 링잉이 생깁니다.
(즉, 필터가 원하는 신호가 도달하기 전에 출력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자연계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현상입니다.)
일부 사람들은 프리 링잉이 청감상 감지될 수 있으며, 이는 아날로그 시스템과 디지털 시스템 간의 사운드 품질 차이를 설명하는 요소 중 하나라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관점에 동의하는 사용자들에게는, 미니멈 페이즈 필터 옵션이 매력적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또한 필터 종류와 관계없이 fast 모드와 slow 모드 모두 제공됩니다. 이는 필터 경사(slope)의 가파름 정도를 의미합니다.
Fast 필터는 상호 대역폭을 약간 더 넓고 평탄하게 유지해주며, slow 필터는 더 부드럽고 일찍 롤오프가 시작되지만, 그 결과 임펄스 응답의 링잉 지속시간이 짧아지고 진폭도 줄어듭니다. 흥미롭게도, 리니어 페이즈 모드 안에서 ‘아포다이징 필터’ 설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Apodising’ 박스를 참고하십시오.)
입력 및 출력
전면 패널의 헤드폰 단자를 제외하면, 모든 입출력 연결은 후면 패널에 위치하며, 구성은 이전 모델과 동일합니다. 스테레오 라일 레벨 아날로그 연결은 XLR 단자를 통해 제공되며, 모니터 출력은 1/4” TRS 단자 한 쌍을 사용합니다. 기존 버전과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라인 입력 및 출력의 기준 레벨은 조정이 가능하며, +18dBu ~ +24dBu 신호가 0dBFS에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 있어 프로페셔널 장비와 매칭할 수 있습니다. 또한 0dBV ~ +6dBV 범위로 설정하여 컨슈머 기기와도 호환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 출력 역시 최대 레벨을 +24dBu 또는 +10dBu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확장 슬롯은 USB, Thunderbolt, Dante카드 장착을 지원하며, 이 중에서 USB가 가장 경제적인 옵션입니다.
AES3를 위한 XLR 단자나 S/PDIF를 위한 RCA 포노 단자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입출력이 이루어집니다. 출력은 두 포맷 동시에 활성화되지만, 입력은 한 번에 하나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TosLink 광포트도 한 쌍 제공되어, ADAT 또는 광 S/PDIF 포맷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모든 일반적인 샘플레이트가 최대 192kHz까지 지원하며, ADAT 인터페이스는 싱글 레이트(8채널) 및 더블 레이트(4채널) 모드만 지원합니다. 마찬가지로 USB 인터페이스는 싱글 및 더블레이트에서는 16채널, 쿼드 레이트에서는 8채널만 제공합니다. 워드 클럭 입력과 출력은 BNC 커넥터 한 쌍을 통해 제공되며, 전원은 범용 IEC 전원 단자(100–240V AC) 또는 외부 배터리 전원을 위한 4핀 XLR(9–18V DC)을 통해 공급할 수 있습니다. 기존 모델과 마찬가지로, 최대 16채널 입력(일반적으로 8개의 스테레오 세트 구성) 16채널 출력을 지원하는 Lslot 인터페이스 옵션 카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 카드로 컴퓨터와 USB, Thunderbolt, Dante 연결이 가능합니다. 썬더볼트 및 USB 옵션 모두 macOS 및 Windows용 드라이버가 제공됩니다. Hilo2는 USB를 통해 Mac에서는 Core Audio디바이스로 작동하고, Windows에서는 WDM과 ASI를 모두 지원합니다. 썬더볼트 인터페이스는 macOS와 Windows 모두에서 전용 Lynx 드라이버를 필요로 합니다.
스크린
대부분의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화면은 다양한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 레벨을 표시하며, 총 네 가지의 옵션이 제공됩니다. All I/O 화면은 이름 그대로 모든 입력과 출력 각각의 신호 레벨을 두 줄의 수직바 그래프로 보여줍니다. Horizontal 뷰는 선택된 입력 및 출력 레벨을 보여주는 두 개의 큰 수평 스테레오 바 그래프로 제공합니다. 가장 매력적인 옵션은 아날로그 VU 미터를 가상으로 재현한 Analog VU입니다. 감도는 0VU 기준으로 ‑3dBFS에서 ‑30dBFS까지 조정할 수 있으며, 역시 어떤 입력이나 출력 소스든 미터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RTA 옵션이 있어, 선택한 입력 또는 출력 신호의 30개 주파수 대역별 스테레오 레벨을 두 줄의 수직 바 그래프로 표시합니다. RTA의 감도 역시 3dB 단위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Audio 페이지에서는 다음 기능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원하는 샘플레이트와 동기화 소스 설정, 아날로그 라인 입력 및 출력 기준 레벨 조정, TOSLINK 광 인터페이스 모드(S/PDIF 또는 ADAT) 설정, 선택된 디지털 입력 소스(AES 또는 S/PDF) 설정, 디지털 입력의 SRC(샘플레이트 컨버터) On/Off 설정(Hilo의 현재 클락 레이트에 외두 디지털 소스를 동기화).
System 페이지에서는 다음 가능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 언어, 백라이트 조명 설정, USB모드(8채널 또는 16채널) 전환, 디지털 필터링 모드 선택, 로터리 컨트롤 할당(기본적으로 모니터 출력 및 헤드폰 출력을 제어하지만, 다른 출력 및 출력 그룹을 제어하도록 설정 가능), 이 페이지에서는 시리얼 넘버, 펌웨어 버전 정보도 확인할 수 있으며, 공장 초기화도 실행이 가능합니다.
특정 시스템 구성 및 라우팅 설정은 Scenes 메뉴 페이지에서 저장하거나 불러올 수 있습니다. 총 8개의 씬 슬롯이 제공되며, 이 중 4개는 프리셋 설정, 4개는 커스텀이 가능합니다. 마지막 메뉴 페이지에서는 입력 소스를 자유롭게 조합하여 원하는 출력으로 라우팅할 수 있습니다. 여러 입력을 믹스하여 여러 출력에 동시에 보내는 것도 가능하며, 신호 레벨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방식은 출력 레벨을 먼저 선택한 후, 원하는 입력 채널을 선택(또는 음소거)하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생각보다 간단하며, 기본적으로 스테레오 페어 단위의 라우팅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선택된 소스를 모노로 합치거나, 좌우 어느 한쪽 두 출력 채널 모두에 보낼 수도 있어 유연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벤치 테스트
최신 컨버터들은 이제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한계에 거의 다다른 수준으로 성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이는 점진적인 기술 향상이 일반적인 청취 테스트보다는 테스트 벤치 계측을 통해 더 쉽게 식별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 컨버터 리뷰를 꾸준히 읽어오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는 AES17 다이내믹 레인지 테스트를 컨버터 성능을 평가하는 훌륭한 지표로 여깁니다. 이 테스트는 일관성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정량적 평가를 제공하며, 제 개인적인 리스닝 인상과도 상당히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아마도 좋은 AES17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회로 설계, 접지 구성, 전원 공급(특히 아날로그/디지털 전원 분리), 클럭 설계, 디지털 스트림 복구 등 컨버터의 모든 설계와 제조 공정이 최적화되어야 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어느 한 부분이라도 작은 기술적 약점이 있다면 AES17 측정값은 즉시 저하됩니다. 제가 기존의 Hilo를 리뷰했을 때, A-D 컨버전은 121.3dB(A‑weighted), D-A 컨버전은 120.5dBA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모두 훌륭한 수치였고, 당시 제가 측정했던 모든 컨버터 중 상위 10위 안에 들 정도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118dBA 이상을 진정한 프로페셔널 마스터링 품질로 평가하는데, 12년 전 이 기준을 충족했다는 점은 매우 인상적입니다.
그 이후로도 컨버터 칩 제조사들은 지속적으로 성능을 개선해왔고, 제품 제조사들도 이러한 최신 칩의 성능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컨버터 시스템을 개발해왔습니다.
“이러한 수치들은 실용적인 상용 제품에서 달성할 수 있는 한계를 밀어붙이는 수준이며, Lynx는 이 놀라운 성취에 대해 진심으로 찬사를 받을 만합니다.
|
이 점은 새로운 Hilo 2의 벤치 테스트에도 명확히 드러났습니다. 테스트 결과, Hilo 2는 A-D 컨버전 분야에서 2dB 향상된 123.1dBA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제가 측정한 컨버터 중, RME ADI-2 Pro(124dBA)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입니다. D-A 변환 부문에서는 더욱 놀라운 성능 향상이 나타났습니다. 128.1dBA를 기록하며, 저의 측정 기록 중 최고 점수를 갱신했습니다. 이는 이전 1위였던 Merging Hapi 인터페이스보다 2dB 더 높은 수치입니다. 이 수치들은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현실적인 상용 제품이 도달할 수 있는 기술적 한계를 넘어서는 수준이며, Lynx는 이 눈부신 성취에 대해 다시 한 번 큰 찬사를 받을 만합니다.

이 Precision 차트는 사용할 수 있는 D‑A 필터 모드 옵션 중 일부를 보여줍니다. 빨간색, 주황색, 분홍색 곡선은 미니멈 페이즈(Minimum-phase) 타입을 나타내며, 파란색과 보라색 곡선은 리니어 페이즈(Linear-phase) 타입을 나타냅니다. Fast 모드는 약 22kHz 부근부터 급격히 롤오프가 시작되고, Slow 모드는 약 16kHz 부근부터 매우 부드럽게 감쇠가 시작됩니다. 기본 설정인 Linear Fast 모드는, 아포다이징 필터(녹색 곡선)를 제외하면, 나이키스트 주파수(48kHz)에서 다른 모든 옵션보다 더 강한 감쇠를 제공합니다.
인상
새로운 Hilo2는 기술적 성능 면에서 기존 모델 대비 확실한 진보를 이뤄냈으며, 제가 테스트한 컨버터 랭킹에서도 다시 1위를 차지하며, 현시점 최고의 기술 수준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크게 칭찬받을 만한 성취입니다. 기존 모델 리뷰에서 “기능 위시리스트”로 언급했던 많은 필수 항목들도 지난 10년 동안 여러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반영되었고, Hilo2에도 그대로 이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VU 미터 감도 조정이나 ADAT 채널 선택 기능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제가 제안했던 기능들은 (아직까지는?) 대부분 구현되지 않았습니다. 원래 컨셉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약속했던 것과 10년이라는 개발 기간을 감안할 때, 이 점은 다소 실망스럽게 느껴졌습니다.
예를 들면, 기본적인 모니터 컨트롤러 기능, 스테레오 폭 조정, L-R채널 스왑, 트루 피크 및 라우드니스 미터링, 신호 라우팅 경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크로스포인트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등을 여전히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ilo 2는 놀라운 사운드 퀄리티, 뛰어난 기능, 우수한 다재다능성, 그리고 더욱 간편해진 조작성을 갖춘, 기준을 새롭게 설정하는 뛰어난 프로페셔널 컨버터입니다. Hilo 2는 프로페셔널 마스터링 스위트, 트랜스퍼 룸, 하이엔드 오디오파일 시스템 등의 핵심 장비로 이상적인 선택이 될 것이며, 표준을 정의하는 오디오 퀄리티를, 놀라울 만큼 간편하고 직관적인 포맷으로 제공합니다. 최고의 제품이 한층 더 완벽해졌습니다.
Apdoising |
아포다이징 필터(apodising filter)는 수십 년 동안 스펙트럼 분석 기능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분석 시간 윈도우의 급격한 시작과 종료로 인한 영향을 줄이는 방법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디지털 오디오 응용에서는, 아포다이징 필터가 D-A컨버터의 재구성 필터 (D-A reconstruction filter)로 인해 발생하는 리니어 페이즈 필터의 프리 링잉과 포스트 링잉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AD 컨버터의 리니어 페이즈 안티 앨리어싱 필터에서 이미 디지털 신호에 내재된 문제이기도 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아포다이징 필터는 본절적으로 나이키스트 주파수에서 첫 번째 깊은 널(null)을 만들도록 설계된 특정 타입의 미니멈 페이즈 로우패스 필터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더 복잡한 원리가 적용됩니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 경로는 본질적으로 AD컨버터의 안티 앨리어싱 필터와 DA컨버터의 재구성 필터를 포함합니다. 여러 필터 단계가 직렬로 연결된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의 전체 주파수 응답이 각각의 필터 응답의 곱으로 정의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차단 주파수를 가진 1차 (6dB/oct) 필터 두 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면, 전체 시스템은 2차(12dB/oct) 필터처럼 동작합니다.
하지만 시간(domain) 영역에서는, 전체 시스템의 임펄스 응답이 각각의 필터 임펄스 응답의 컨볼루션 convolution)으로 정의됩니다. 이 점이 중요한 이유는, 표준 리니어 페이즈 필터의 시간 영역 특성을 컨볼루션을 통해 정확히 상쇄할 수 있는 필터를 설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아포다이징 필터입니다. 신호 경로에 아포다이징 필터를 삽입하면, 전체 시스템의 임펄스 응답이 개별 필터 각각의 임펄스 응답보다 짧고 작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존 리니어 페이즈 필터에 수반되는 프리 링잉과 포스트 링잉을 거의 완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에 따른 기회비용도 존재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나이키스트 주파수에서 깊은 첫 번째 널(null)을 만들기 위해 아포다이징 필터가 다소 더 낮은 주파수부터 롤오프를 시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44.1kHz 샘플링 시스템 기준으로 21.5kHz대신 약 19.5kHz부터 롤오프가 시작되는 정도에 불과하며, 완벽에 가까운 시간 영역 성능을 얻기 위한 매우 작은 대가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아포다이징 필터가 여전히 미니멈 페이즈 로우패스 필터이기 때문에, 약간의 포스트 링잉이 남아있지만, 이는 자연스러운 현장이며, 대부분 인간의 시간적 마스킹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청감상 거의 감지되지 않습니다.
아포다이징은 매우 영리하고 실질적으로 검증된 솔루션입니다. 2004년 Peter Craven이 디지털 오디오 응용을 위해 처음 제안했으며,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를 채택하는 디지털 제품 제조사가 드문 것은 여전히 놀랍습니다. Hilo 2에 아포다이징 필터 옵션이 포함된 것은 매우 반가운 일입니다.
|
대안 |
핵심 기능과 기준을 세우는 오디오 퀄리티라는 측면에서, 직접적인 대안은 RME의 ADI‑2 Pro뿐입니다.
|
장점
● 압도적인 오디오 퍼포먼스 ● 컨버터 성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 ● 대폭 향상된 터치스크린 ● 뛰어난 다용도성과 인상적인 컨버터 및 라우팅 시스템
|
단점
● 이 정도 퀄리티에 상당한 비용이 듭니다. ● 신호 처리 및 미터링 기능이 아직 초기 설계에서의 확장 가능성만큼 발전하지 못했습니다.
|
종합
Hilo 2는 컨버터 성능의 최첨단 기준을 새롭게 정의하면서, 기존 모델이 사랑받았던 뛰어난 다재다능성과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Lynx Hilo 2 제품 보러 가기
※ 궁금하신 사항은 비엘에스 카카오톡 채널로 문의바랍니다.
Lynx Hilo 2
레퍼런스 A-D / D-A 컨버터
Lynx의 최신 마스터링 컨버터의 업데이트 버전은 훨씬 향상된 터치스크린, 다양한 새로운 필터링 옵션,
그리고 우리가 측정한 것 중 가장 뛰어난 D-A 컨버터 성능을 제공합니다.
2012년 7월 출시된 Lynx의 Hilo 컨버터는 10년 이상 지속된 새로운 성능 기준을 확립했습니다.
이제 Lynx는 새롭고 대대적으로 업데이트된 버전인 Hilo 2로 다시 한 번 그 기준을 끌어올렸습니다.
처음 보면, 기존 실버 색상을 대신하는 세련된 다크 그레이 컬러와 이름에 추가된 “2”표시부분을 제외하면,
새로운 모델은 외관상으로는 기존 제품과 구별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많은 부분이 변경되어, 더 높은 기술적 성능을 끌어내고 향상된 사용성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기존 Hilo 사용자는 작동 방식과 연결성이 대부분 동일하기 때문에 즉시 익숙함을 느낄 것입니다. 이 제품은 여전히 2입력 6출력의 마스터링 급 A-D/D-A 컨버터이며, 내부 16x16 디지털 라우팅 매트릭스를 갖추고 있습니다. 전면 패널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직접 컨트롤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Mac/Windows용 컴퓨터 앱을 통해 원격 컨트롤도 가능합니다.
전면 패널은 여전히 매우 미니멀하며, 스탠바이(on/off) 버튼, 버튼을 할당 가능한 회전형 볼륨 컨트롤, 1/4인치 헤드폰 단자만 존재합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장비의 모든 설정과 작동은 대형 컬러 터치스크린을 통해 컨트롤되지만, 이 480x272픽셀의 디스플레이는 주요 업그레이드 요소입니다. 이제 IPS(in-plane switching) 타입으로, 정전식 터치 센서를 채택했으며, 터치 반응성, 밝기, 시야각이 모두 향상되도록 완전히 재설계되었습니다.
기존 Hilo 리뷰(https://sosm.ag/lynx-hilo)에서 “제 손가락이 비교적 두꺼운 편이라 라우팅 페이지의 작은 버튼을 살짝 빗나가 누르면 반응이 없거나 잘못된 소스를 활성화하는 경우가 있었다”라고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Hilo 2에서는 이런 문제가 전혀 없었습니다. 터치는 빠르고 정확하며, 손가락 위치를 따로 신경 쓸 필요 없이 원하는 대로 반응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새로운 스크린 업그레이드는 매우 가치 있는 개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터치스크린은 기존 Hilo에 사용된 것보다 상당히 향상되었습니다.
제가 확인한 바로는, Hilo 2의 현재 펌웨어(v1.3, 2024년 8월 출시)는 이전 모델의 최신 버전(v8.13)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기본 기능과 그래픽은 거의 동일해 보입니다. 하지만 초기 사용 중에 발견한 한 가지 유용한 차이점은, 새로운 컨버터 하드웨어가 다양한 리니어 페이즈 및 미니멈 페이즈 필터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훌륭하게 작성된 70페이지 분량의 매뉴얼에서는 이 다양한 모드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으며, 간단히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미니멈 페이즈 필터는 이상적인 아날로그 필터를 모방하며, 주파수에 따른 위상 변화 때문에 ‘시각 왜곡(time smearing)’이나 파형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리니어 페이즈 필터는 다양한 주파수 간의 위상 관계를 유지하여 파형을 보존하지만, 일펄스 응답에 프리 링잉이 생깁니다.
(즉, 필터가 원하는 신호가 도달하기 전에 출력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자연계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현상입니다.)
일부 사람들은 프리 링잉이 청감상 감지될 수 있으며, 이는 아날로그 시스템과 디지털 시스템 간의 사운드 품질 차이를 설명하는 요소 중 하나라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관점에 동의하는 사용자들에게는, 미니멈 페이즈 필터 옵션이 매력적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또한 필터 종류와 관계없이 fast 모드와 slow 모드 모두 제공됩니다. 이는 필터 경사(slope)의 가파름 정도를 의미합니다.
Fast 필터는 상호 대역폭을 약간 더 넓고 평탄하게 유지해주며, slow 필터는 더 부드럽고 일찍 롤오프가 시작되지만, 그 결과 임펄스 응답의 링잉 지속시간이 짧아지고 진폭도 줄어듭니다. 흥미롭게도, 리니어 페이즈 모드 안에서 ‘아포다이징 필터’ 설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Apodising’ 박스를 참고하십시오.)
전면 패널의 헤드폰 단자를 제외하면, 모든 입출력 연결은 후면 패널에 위치하며, 구성은 이전 모델과 동일합니다. 스테레오 라일 레벨 아날로그 연결은 XLR 단자를 통해 제공되며, 모니터 출력은 1/4” TRS 단자 한 쌍을 사용합니다. 기존 버전과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라인 입력 및 출력의 기준 레벨은 조정이 가능하며, +18dBu ~ +24dBu 신호가 0dBFS에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 있어 프로페셔널 장비와 매칭할 수 있습니다. 또한 0dBV ~ +6dBV 범위로 설정하여 컨슈머 기기와도 호환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 출력 역시 최대 레벨을 +24dBu 또는 +10dBu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확장 슬롯은 USB, Thunderbolt, Dante카드 장착을 지원하며, 이 중에서 USB가 가장 경제적인 옵션입니다.
AES3를 위한 XLR 단자나 S/PDIF를 위한 RCA 포노 단자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입출력이 이루어집니다. 출력은 두 포맷 동시에 활성화되지만, 입력은 한 번에 하나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TosLink 광포트도 한 쌍 제공되어, ADAT 또는 광 S/PDIF 포맷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모든 일반적인 샘플레이트가 최대 192kHz까지 지원하며, ADAT 인터페이스는 싱글 레이트(8채널) 및 더블 레이트(4채널) 모드만 지원합니다. 마찬가지로 USB 인터페이스는 싱글 및 더블레이트에서는 16채널, 쿼드 레이트에서는 8채널만 제공합니다. 워드 클럭 입력과 출력은 BNC 커넥터 한 쌍을 통해 제공되며, 전원은 범용 IEC 전원 단자(100–240V AC) 또는 외부 배터리 전원을 위한 4핀 XLR(9–18V DC)을 통해 공급할 수 있습니다. 기존 모델과 마찬가지로, 최대 16채널 입력(일반적으로 8개의 스테레오 세트 구성) 16채널 출력을 지원하는 Lslot 인터페이스 옵션 카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 카드로 컴퓨터와 USB, Thunderbolt, Dante 연결이 가능합니다. 썬더볼트 및 USB 옵션 모두 macOS 및 Windows용 드라이버가 제공됩니다. Hilo2는 USB를 통해 Mac에서는 Core Audio디바이스로 작동하고, Windows에서는 WDM과 ASI를 모두 지원합니다. 썬더볼트 인터페이스는 macOS와 Windows 모두에서 전용 Lynx 드라이버를 필요로 합니다.
대부분의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화면은 다양한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 레벨을 표시하며, 총 네 가지의 옵션이 제공됩니다. All I/O 화면은 이름 그대로 모든 입력과 출력 각각의 신호 레벨을 두 줄의 수직바 그래프로 보여줍니다. Horizontal 뷰는 선택된 입력 및 출력 레벨을 보여주는 두 개의 큰 수평 스테레오 바 그래프로 제공합니다. 가장 매력적인 옵션은 아날로그 VU 미터를 가상으로 재현한 Analog VU입니다. 감도는 0VU 기준으로 ‑3dBFS에서 ‑30dBFS까지 조정할 수 있으며, 역시 어떤 입력이나 출력 소스든 미터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RTA 옵션이 있어, 선택한 입력 또는 출력 신호의 30개 주파수 대역별 스테레오 레벨을 두 줄의 수직 바 그래프로 표시합니다. RTA의 감도 역시 3dB 단위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Audio 페이지에서는 다음 기능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원하는 샘플레이트와 동기화 소스 설정, 아날로그 라인 입력 및 출력 기준 레벨 조정, TOSLINK 광 인터페이스 모드(S/PDIF 또는 ADAT) 설정, 선택된 디지털 입력 소스(AES 또는 S/PDF) 설정, 디지털 입력의 SRC(샘플레이트 컨버터) On/Off 설정(Hilo의 현재 클락 레이트에 외두 디지털 소스를 동기화).
System 페이지에서는 다음 가능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 언어, 백라이트 조명 설정, USB모드(8채널 또는 16채널) 전환, 디지털 필터링 모드 선택, 로터리 컨트롤 할당(기본적으로 모니터 출력 및 헤드폰 출력을 제어하지만, 다른 출력 및 출력 그룹을 제어하도록 설정 가능), 이 페이지에서는 시리얼 넘버, 펌웨어 버전 정보도 확인할 수 있으며, 공장 초기화도 실행이 가능합니다.
특정 시스템 구성 및 라우팅 설정은 Scenes 메뉴 페이지에서 저장하거나 불러올 수 있습니다. 총 8개의 씬 슬롯이 제공되며, 이 중 4개는 프리셋 설정, 4개는 커스텀이 가능합니다. 마지막 메뉴 페이지에서는 입력 소스를 자유롭게 조합하여 원하는 출력으로 라우팅할 수 있습니다. 여러 입력을 믹스하여 여러 출력에 동시에 보내는 것도 가능하며, 신호 레벨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방식은 출력 레벨을 먼저 선택한 후, 원하는 입력 채널을 선택(또는 음소거)하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생각보다 간단하며, 기본적으로 스테레오 페어 단위의 라우팅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선택된 소스를 모노로 합치거나, 좌우 어느 한쪽 두 출력 채널 모두에 보낼 수도 있어 유연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최신 컨버터들은 이제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한계에 거의 다다른 수준으로 성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이는 점진적인 기술 향상이 일반적인 청취 테스트보다는 테스트 벤치 계측을 통해 더 쉽게 식별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 컨버터 리뷰를 꾸준히 읽어오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는 AES17 다이내믹 레인지 테스트를 컨버터 성능을 평가하는 훌륭한 지표로 여깁니다. 이 테스트는 일관성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정량적 평가를 제공하며, 제 개인적인 리스닝 인상과도 상당히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아마도 좋은 AES17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회로 설계, 접지 구성, 전원 공급(특히 아날로그/디지털 전원 분리), 클럭 설계, 디지털 스트림 복구 등 컨버터의 모든 설계와 제조 공정이 최적화되어야 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어느 한 부분이라도 작은 기술적 약점이 있다면 AES17 측정값은 즉시 저하됩니다. 제가 기존의 Hilo를 리뷰했을 때, A-D 컨버전은 121.3dB(A‑weighted), D-A 컨버전은 120.5dBA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모두 훌륭한 수치였고, 당시 제가 측정했던 모든 컨버터 중 상위 10위 안에 들 정도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118dBA 이상을 진정한 프로페셔널 마스터링 품질로 평가하는데, 12년 전 이 기준을 충족했다는 점은 매우 인상적입니다.
그 이후로도 컨버터 칩 제조사들은 지속적으로 성능을 개선해왔고, 제품 제조사들도 이러한 최신 칩의 성능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컨버터 시스템을 개발해왔습니다.
“이러한 수치들은 실용적인 상용 제품에서 달성할 수 있는 한계를 밀어붙이는 수준이며,
Lynx는 이 놀라운 성취에 대해 진심으로 찬사를 받을 만합니다.
이 점은 새로운 Hilo 2의 벤치 테스트에도 명확히 드러났습니다. 테스트 결과, Hilo 2는 A-D 컨버전 분야에서 2dB 향상된 123.1dBA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제가 측정한 컨버터 중, RME ADI-2 Pro(124dBA)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입니다. D-A 변환 부문에서는 더욱 놀라운 성능 향상이 나타났습니다. 128.1dBA를 기록하며, 저의 측정 기록 중 최고 점수를 갱신했습니다. 이는 이전 1위였던 Merging Hapi 인터페이스보다 2dB 더 높은 수치입니다. 이 수치들은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현실적인 상용 제품이 도달할 수 있는 기술적 한계를 넘어서는 수준이며, Lynx는 이 눈부신 성취에 대해 다시 한 번 큰 찬사를 받을 만합니다.
이 Precision 차트는 사용할 수 있는 D‑A 필터 모드 옵션 중 일부를 보여줍니다. 빨간색, 주황색, 분홍색 곡선은 미니멈 페이즈(Minimum-phase) 타입을 나타내며, 파란색과 보라색 곡선은 리니어 페이즈(Linear-phase) 타입을 나타냅니다. Fast 모드는 약 22kHz 부근부터 급격히 롤오프가 시작되고, Slow 모드는 약 16kHz 부근부터 매우 부드럽게 감쇠가 시작됩니다. 기본 설정인 Linear Fast 모드는, 아포다이징 필터(녹색 곡선)를 제외하면, 나이키스트 주파수(48kHz)에서 다른 모든 옵션보다 더 강한 감쇠를 제공합니다.
새로운 Hilo2는 기술적 성능 면에서 기존 모델 대비 확실한 진보를 이뤄냈으며, 제가 테스트한 컨버터 랭킹에서도 다시 1위를 차지하며, 현시점 최고의 기술 수준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크게 칭찬받을 만한 성취입니다. 기존 모델 리뷰에서 “기능 위시리스트”로 언급했던 많은 필수 항목들도 지난 10년 동안 여러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반영되었고, Hilo2에도 그대로 이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VU 미터 감도 조정이나 ADAT 채널 선택 기능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제가 제안했던 기능들은 (아직까지는?) 대부분 구현되지 않았습니다. 원래 컨셉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약속했던 것과 10년이라는 개발 기간을 감안할 때, 이 점은 다소 실망스럽게 느껴졌습니다.
예를 들면, 기본적인 모니터 컨트롤러 기능, 스테레오 폭 조정, L-R채널 스왑, 트루 피크 및 라우드니스 미터링, 신호 라우팅 경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크로스포인트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등을 여전히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ilo 2는 놀라운 사운드 퀄리티, 뛰어난 기능, 우수한 다재다능성, 그리고 더욱 간편해진 조작성을 갖춘, 기준을 새롭게 설정하는 뛰어난 프로페셔널 컨버터입니다. Hilo 2는 프로페셔널 마스터링 스위트, 트랜스퍼 룸, 하이엔드 오디오파일 시스템 등의 핵심 장비로 이상적인 선택이 될 것이며, 표준을 정의하는 오디오 퀄리티를, 놀라울 만큼 간편하고 직관적인 포맷으로 제공합니다. 최고의 제품이 한층 더 완벽해졌습니다.
Apdoising
아포다이징 필터(apodising filter)는 수십 년 동안 스펙트럼 분석 기능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분석 시간 윈도우의 급격한 시작과 종료로 인한 영향을 줄이는 방법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디지털 오디오 응용에서는,
아포다이징 필터가 D-A컨버터의 재구성 필터 (D-A reconstruction filter)로 인해 발생하는
리니어 페이즈 필터의 프리 링잉과 포스트 링잉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AD 컨버터의 리니어 페이즈 안티 앨리어싱 필터에서 이미 디지털 신호에 내재된 문제이기도 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아포다이징 필터는 본절적으로 나이키스트 주파수에서
첫 번째 깊은 널(null)을 만들도록 설계된 특정 타입의 미니멈 페이즈 로우패스 필터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더 복잡한 원리가 적용됩니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 경로는 본질적으로 AD컨버터의 안티 앨리어싱 필터와 DA컨버터의 재구성 필터를 포함합니다.
여러 필터 단계가 직렬로 연결된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의 전체 주파수 응답이 각각의 필터 응답의 곱으로 정의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차단 주파수를 가진 1차 (6dB/oct) 필터 두 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면,
전체 시스템은 2차(12dB/oct) 필터처럼 동작합니다.
하지만 시간(domain) 영역에서는,
전체 시스템의 임펄스 응답이 각각의 필터 임펄스 응답의 컨볼루션 convolution)으로 정의됩니다.
이 점이 중요한 이유는, 표준 리니어 페이즈 필터의 시간 영역 특성을 컨볼루션을 통해
정확히 상쇄할 수 있는 필터를 설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아포다이징 필터입니다.
신호 경로에 아포다이징 필터를 삽입하면,
전체 시스템의 임펄스 응답이 개별 필터 각각의 임펄스 응답보다 짧고 작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존 리니어 페이즈 필터에 수반되는 프리 링잉과 포스트 링잉을 거의 완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에 따른 기회비용도 존재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나이키스트 주파수에서 깊은 첫 번째 널(null)을 만들기 위해
아포다이징 필터가 다소 더 낮은 주파수부터 롤오프를 시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44.1kHz 샘플링 시스템 기준으로 21.5kHz대신 약 19.5kHz부터 롤오프가 시작되는 정도에 불과하며,
완벽에 가까운 시간 영역 성능을 얻기 위한 매우 작은 대가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아포다이징 필터가 여전히 미니멈 페이즈 로우패스 필터이기 때문에,
약간의 포스트 링잉이 남아있지만, 이는 자연스러운 현장이며,
대부분 인간의 시간적 마스킹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청감상 거의 감지되지 않습니다.
아포다이징은 매우 영리하고 실질적으로 검증된 솔루션입니다.
2004년 Peter Craven이 디지털 오디오 응용을 위해 처음 제안했으며,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를 채택하는 디지털 제품 제조사가 드문 것은 여전히 놀랍습니다.
Hilo 2에 아포다이징 필터 옵션이 포함된 것은 매우 반가운 일입니다.
대안
핵심 기능과 기준을 세우는 오디오 퀄리티라는 측면에서, 직접적인 대안은 RME의 ADI‑2 Pro뿐입니다.
Hilo 2는 컨버터 성능의 최첨단 기준을 새롭게 정의하면서, 기존 모델이 사랑받았던 뛰어난 다재다능성과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Lynx Hilo 2 제품 보러 가기
※ 궁금하신 사항은 비엘에스 카카오톡 채널로 문의바랍니다.